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염창역헬스] 키네틱 체인(신경계)에 대해 알아보자 플러스버닝

안녕하세요  염창역헬스 플러스버닝 퍼스널트레이너 손지형입니다.

 

인체 움직임은 신경계와 골격계, 근육계   이 세가지 체계들의 기능적 결합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경들과 근육들, 관절들은 함께 수행해야 하거나, 또는 동작이나 인체 움직임을 일으키기 위해 서로 연결되어야 합니다.

 

신경계 ( Nervous system)

신체 기관계들 중 하나로서 신호를 전달하고 조정하는 특별한 세포인 신경세포들의 네트워크로 구성되며 체내에서의 소통망을 구축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로 나뉘어지며

중추신경계 (Central nervous system;CNS) 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어 있다.

말초신경계 (Peripheral nervous systme;PNS) 는 CNS를 제외한 다른부분이며 다른 시네부위들로부터 CNS에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신경계의 기능 으론

감각기능 (Sensory function) : 근육을 스트레칭할때나 내부 혹은 외부환경에서 일어나는 변화들을 감지하는 신경계의 능력이고

통합기능 (Integrative function) : 감각정보들을 분석,해석,하여 적절한 판단을 내림으로써 적합한 반응을 일어키는 신경계의 능력

동작기능 (Motor function) : 감각정보에대한 신경근의 반응으로서 지나친 스트레칭에 대해 근육이 수축하는 반응을 보이는것 혹은 모래 위에서 걸을 때에는 보도위에서 걸을 때와 다른 반식을 따른 반응등을 말한다.

 

감각기능
동작기능

신경계는 근육의 개입과 학습된 움직임 양상, 체내의 각 장기들의 기능을 주관하는 역할을 한다. 

고유감각이란 근접하는 신체 부위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감지하는 신체의 능력을 말한다.

 

신경세포란 신경계의 기능적 단위를 말한다.  신경세포는 전기 신호와 화학 신호들 모두를 통해 정보를 처리하고 전달하는 특수한 세포를 말한다. 수많은 신경세포들이 통합됨으로써 신체의 신경들이 형성되는 것이다.   신경세포의 세포에에는 세포핵과 용해소체들이나 미토콘드리아, 골지복합체와 같은 다른 세포 기관들이 포함되며, 축삭은 신경충동들을 다른 신경세포들 혹은 효과기 구역들(근육,장기)로 전달하는 세포체로부터 비롯되는 원통형 돌출부를 말한다.  즉, 축삭은 다른 신체부위들과 소통할수 있도록 해주는 신경세포의 일부이다.   가지돌기들은 다른 구성체들로부터 수집한 정보들을 다시 신경세포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신경충동들의 방향을 바탕으로 신경세포들을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감각신경세포, 사이신경세포, 운동신경세포  이렇게 3가지로 구분되며  감각 신경세포는 촉감과 빛, 소리 및 다른 많은 자극들에 반응하여 효과기구역들로 부터의 신경충동들을 뇌와 척수로 전달한다.

사이신경세포들은 신경충동들을 하나의 신경세포에서 다른 신경세포로 전달하고 ,  운동신경세포는 신경충동들을 뇌와 척수로부터 근육이나 샘들과 같은 다른 효과기 구역들로 전달한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인 두개의 상호의존적인 부문으로 이루어지며 중추신경계(CNS)는 뇌와 척수로 구성되며 신체 모든 부위들의 활동을 통합시키는 것이 주된 역할이다.   말초신경계(PNS)는 외부환경과 신체의 다른 부분을 중추신경계에 연결시켜주는 신경들로 구성된다.

 

 

말초신경계는 12개의 뇌신경과 13쌍의 척수신경들, 그리고 감각수용기들로 이루어진다.

이 말초신경계는 신경계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근육과 같은 효과기 구역들을 활성화시키고  말초신경들은 효과기구역들로부터 얻은 정보들을 감각수용기들을 통해 다시 뇌로 돌려보냄으로써 신체와 환경 간의 관계 변화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근방추(Muscle Spindle) 란, 근섬유들과 평행을 이루며 근육내에 위치하는 감각수용기들로 근육길이의 변화와 길이 변화 속도에 예민하다.  특정 근육을 곧게 뻗으면 해당 근육 내의 방추들 또한 곧게 뻗음으로써 길이 변화에 대한 정보를 감각신경세포들을 통해 CNS로 전달되도록 하고 전달된 정보가 뇌에 도달하게 뇌가 다시 운동명령을 내려서 근육의 수축을 조절한다.   지나친 근육의 이완에 근육손상의 가능성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생겨난 보호장치라 할수 있다.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s;GTO) 는 골격근의 힘줄 안으로 삽입되는 지점들에 위치하는 특수화된 감각수용기들이다.  골지건기관은 근육의 긴장도 변화와 변화속도에 예민하며 골지건 기관이 활성화됨으로써 근육이 이완되어 과도한 압박이나 부상의 가능성이 예방된다.

 

관절수용기(joint receptors)들은 관절 주머니의 내부나 주변에 위치하며 관절의 압력과 가속, 감속에 반응한다.  이 수용기들은 관절의 위치를 알림으로써 부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며 해당 관절에 지나치게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주변 근육들의 반사 및 억제 반응을 일으키는 역할도 한다.

 

대부분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의 초기 단계들이 중추신경계가 움직임을 제어하고 통합시키는 방식에 변화를 일으킨다.  하나의 활동을 수행할 때 우리의 감각들은 사지의 위치와 자세, 생성되는 힘, 활동결과에 대한 새로운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 성공적이지 못한 활동들은 다른 감각정보들로 상호 참고될수 있으며 새로운 움직임 전략을 시도해볼수도 있다. 정기적인 트레이닝과 연습은 중추신경계를 적응시켜 동작을 보다 능숙하게 조절할수 있게 해준다.

 



신경계는 중추신경계와 말초신경계를 통해 전신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수십억 개의 신경세포들로 구성되며 외부환경과 내부환경에 대한 정보들을 수집하여 처리한다음 그에대해 반응한다. 신경계의 주요기능은 변화감지, 정보통합 및 해석, 동작(신경근적반응생성) 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운동을 할때 항상 내몸 그리고 사지들이 어떤 자세로 어떤식으로 움직이고 있는지 알수 없고  신경계들의 명령으로 인해 근육이 수축해서 뼈가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반드시  신경계가 올바르게 활동해 주어야 한다.

 

이상 염창역헬스 플러스버닝 에서 우리몸에 있는 여러 신경계들중 큰것들을 가볍게 알아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