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웨이트 트레이닝

필라테스 롤업 과 컬업의 비교 [등촌역헬스장/등촌역pt] - 플러스버닝

안녕하세요 플러스버닝 등촌역 점 트레이너 손지형입니다.

 

오늘은 필라테스 동작에 대한 근전도 검사 결과를 좀 살펴 보도록 해보겠습니다.

 

 

논문은 2012년도에 작성한 논문이며 브라질에서 실험하였습니다.

 

 

연구는 근전도검사(EMG)를 활용 하였습니다.

 

전통적인 컬업 / 볼을 이용한 롤업 / 그리고 밴드를 이용한 롤업

 

이렇게 3가지를 두고 근전도 검사를 실시 하였습니다.

 

 

위 표에서 제일 왼쪽 머슬칸에  RA와 EO가 있습니다.

이건 RA 는 Rectus abdominal  복직근의 결과값인거고

그아래 EO 는 External oblique  외복사근의 결과값입니다.

 

복직근의 가장큰 수치는 컬업이 가장큰 수치가 나왔으며

외복사근은 밴드를 이용한 롤업이 가장큰 수치가 나왔습니다,

 

필라테스에서 강조하는 복횡근은 근전도검사로는 알수 없으며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 알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복직근의 힘이 많이 사용된다면 복횡근은 힘이 잘 사용되지 않습니다.

 

그치만 복횡근은 척추의 정렬이 무너진다면(전방경사 혹은후방경사(임프린트)) 상태가 된다면 복직근 혹은 다른근육의 운동이 되신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즉, 필라테스 선생님에게 지도를 받고 계신데 속근운동 혹은 코어(주장하는 사람에 따라 근육이 다릅니다. 즉, 코어라고 하는건 없는근육) 운동을 진행한다고 하고

임프린트(골반후방경사) 를 시키고 운동을 한다면 이는 복횡근 운동이라고 보기 어렵습니다.

 

 

 

다음으론 동일한 운동에서 동심성수축(근육의길이가 짧아지며 운동 = concentric phase)과 원심성수축(근육의 길이가 길어지며 운동 = eccentric phase) 에 대한 부분도 실험해 보았습니다.

 

동심성 수축에서 복직근(RA)이 가장 활성화된 근육은 컬업이었고   원심성 수축에서 복직근이 가장 활성화된 근육 또한 컬업이 었습니다.

 

그리고 동심성 수축에서 외복사근(OA)가 가장 활성화된 운동은 볼을 이용한 롤업 이었으며  원심성수축에서 외복사근이 가장 활성화된 운동은 밴드를 이용한 롤업이었습니다.

 

 

 

 

이상 

 

퍼스널 트레이너 + 필라테스강사       를 하고 있는  손지형 트레이너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