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피티샵 혹은 헬스장에서 보면 펑셔널 트레이닝 이란 표현을 많이들 하는데
과연 펑셔널 트레이닝이란 무엇일까요 ?
문자 그대로 보면 기능적 운동 이라고 볼수 있습니다.
그럼 펑셔널 트레이닝이 왜 자꾸 이슈가 되고 있을까요 ?
스포츠 종목의 발달로 인해서 부상을 당하는 사람들의 증가 및 근골격계 특정 부위가 기능이 떨어지면서 통증이 발생되고 있는 경우가 증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가장 쉬운 예로는 거북목 정도가 있겠네요..
부상당한 고객을 치료사에게 보낸 후 돌아오는 이야기는 대부분 단순했는데 안정근이 약해서 그 스트레스가 다른 근육까지 전달되기 때문에 발생 했다.
약한 근육들은 대부분 고관절, 척추, 견흉관절의 안정근이었다.
그리고 종종 심부 복부 근육들 ( 복횡근, 내복사근 ) , 고관절 안정근(중둔근, 내전근, 요방형근, 고관절 외회전근), 견갑골 후인근(하부승모근, 능형근)의 약화를 지적하였다.
또한, 이 약한 근육들은 각각 다른 문제들을 일으켰다!
* 허리 통증이 있는 고객들은 대부분 심부 복부 근육이 약하다.
* 무릎에 문제가 있는 선수들은 보통 고관절 안정근이 약하다.
* 회전근개에 문제가 있는 고객들은 일반적으로 견갑골 후인근과 안정근에 문제가 있다.
그럼 펑셔널 트레이닝을 통해서 근육의 통증을 없앨 수 있냐 ?? 물론 그럴 수 있지만!
트레이너 로써 펑셔널 트레이닝은 본래, 예방 을 위함이다. 펑셔널 트레이닝을 통해서 부상발생을 줄이는것. 통증이 난다면 일단 병원을 먼저 가보는것이 맞다!
고객 혹은 선수가 부상 혹은 통증을 예방하기 위해선 물리치료사들 처럼 트레이너들도 해부학을 좀더 심도 있게 배울 필요가 있으며, 기능이 떨어진 근육을 찾을 수 있도록 측정하고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트레이닝 법이 펑셔널 트레이닝 (기능성 운동) 이 된다.
인터넷에 보면 펑셔널 트레이닝이라고 하고 보수(BOSU)와 같은 불안정한 장치 위에서 스쿼트를 하는 사진이 있는데 그 또한 펑셔널 트레이닝의 일부가 맞긴 하지만 그게 펑셔널 트레이닝의 전부가 돼버리면 안된다.
대부분 펑셔널 트레이닝은 운동의 초점을 안정근을 동원하는 쪽으로 옮긴다. 이것이 물리치료사들이 이야기하는 부상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기능적 운동의 활용
- 레그 익스텐션 대신에 스플릿 스쿼트 또는 싱글 레그 스쿼트 변형 동작을 이용하라. 스플릿 스쿼트는 균형성과 유연성, 싱글레그 스트렝스를 키울수 있다.
- 레그 컬 대신에 싱글 레그 데드리프트를 이용하라. 햄스트링은 무릎 굴곡근이라기 보다는 고관절 신전근에 가깝다. 햄스트링은 실제로는 스프린트에서 무릎 신전을 저항하는 작용을 한다.
-덤벨 벤치 플레스 대신에 얼터네이팅 덤벨 벤치 프레스를 시도해보라. 코어 스트렝스와 어깨 안정성, 한팔의 스트렝스를 향상 시킬 것이다.
'웨이트 트레이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창역헬스] 힙업 운동에 대해 알아 보자! (0) | 2019.03.06 |
---|---|
[등촌역헬스장/등촌역pt] 플러스버닝에서 웨이트트레이닝 팁을 알아보자! (0) | 2018.12.27 |
[염창역PT] 플러스버닝에서 헬스 운동 하는 법 을 알아봅시다! (0) | 2018.12.20 |
염창역헬스 스쿼트 중량 늘리는 법 을 알아 봅시다! (0) | 2018.12.18 |
보수(BOSU) 프로 구매! 보수 장점 (0) | 2016.11.14 |